You are currently viewing 법인 임원 임기 연장 방법 step1

법인 임원 임기 연장 방법 step1

법인 임원 임기 연장 방법 step 1

주시회사를 운영하다 보면 예상하지 못한 알림이 날라오기도 합니다.

바로 임원의 임기가 곧 연장 된다고 연장하라는 법무법인과 범무사에서 우편이 날라올것 입니다.

저도 이글을 작성하는 이유도 같은 메일과 우편을 받고 ‘이런것도 있어?’ 라는 생각으로 알아보다가 다른 업체를 통하면 비용이 많이 발생하니 나 같은 소기업 입장에서는 이런 작은 비용도 절감하기 위해서 혼자 하는 방법을 찾아보고 이것을 기록하여 다른사람에게도 도움이 되고자 생각하여 업무 방법을 정리 두었습니다.

필요서류 모음

일단 제일 중요한 필요 서류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1. 취임
    • 공증받은 주주총회의사록
    • 취임승낙서
    • 개인인감증명서
    • 주민등록등(초)본
    • 인감신고서,인감대지(대표이사의 경우)
  2. 중임
    • 공증받은 주주총회의사록
    • 중임승낙서
    • 개인인감증명서
    • 주민등록등(초)본
  3. 사임
    • 사임서
    • 개인인감증명서
    • 정관사본
  4. 퇴임
    • 정관사본 (단, 감사의 임기만료시 공증받은 주주총회의사록(결산보고 기재) 추가
  5. 해임
    • 공증받은 주주총회의사록(주주서면결의로 대체 불가)

이제 서류를 준비 했다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 봅시다.

신청하는 방법

서류 준비가 완료 되었다면, 이제 본점소재지 관할 등기소에 방문하거나 인터넷 등기소를 통해 등기 신청을 하면 끝납니다

하지만 등기소 방문하기 전에 온라인으로 작업을 해두면 조금 편하게 처리할수 있습니다.

먼저

  1. 인터넷 등기소 사이트로 접속합니다.
    • 아래 화면과 같이 e-form을 클릭해주세요

2. 아래 화면처럼 신규폼을 작성해주세요

3. 먼저 지역 관활 등기소를 선택한후 등기의 목적 과 사유를 작성해 주세요

작성후 다음 버튼을 눌러주세요

– 저의 회사는 대표님은 중임 , 사내이사님의 퇴임, 새로운 이사님이 새로 취임 하셨어요

4. 아래 화면과 같이 등기 사항을 클릭해 주세요

5. 변경할 임원을 한분 한분 선택해서 변경원인을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6. 변경할 임원을 전부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올것입니다.

변경할 사항이 없다면 다음 버튼을 눌러주세요

7.이제 거의 끝났습니다. 이제 등록면허세와 수수료를 납부하면 됩니다.

먼저 아래 화면과 같이 등록면허세/수수료입력 버튼을 클릭합니다.

8. 그럼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되는데 수수료는 4000원인데 등록면허세는 얼마인지 모르겠는데

스스로 작성하게 되어있습니다. 이제 저 납부 금액과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여기 까지 잘 따라 오셨나요?

생각보다 어렵지 않지요 ?

다음 포스팅에서 연결해서 설명하도록하겠습니다.

답글 남기기